Gighub page 추가 개설
카테고리: blog
1. Github Page 추가
계정명으로 github page를 사용 중이었는데 추가로 페이지를 필요하게 되었다.
홈페이지 만들까도 했는데 학습할겸 Github를 사용해보기로 했다.

일단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준다.
2. Repository를 Local 환경으로 Clone 한다.
# 저장소가 만들어졌으니 일단 Clone받는다. 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hagenti0612/archeland.git
# readme.md 파일이 있다면 생략, 없다면 초기 명세서 파일을 만들자
echo "# archeland" >> README.md
# git 초기화
git init
# 현재 폴더의 모든파일 추가
git add .
# 로컬 저장소에 commint 한다.
git commit -m "first commit"
# 브렌치명을 지정한다.
git branch -M main
# 원격저장소를 지정한다. clone을 받았따면 생략한다.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hagenti0612/archeland.git
# 원격저장소에 push한다.
git push -u origin main

모든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github에 파일이 생성되었을 것이다.
3. index 페이지 생성

github와 연결된 폴더에서 index.html파일을 생성한다.
아래 내용을 작성한다.
<!DOCTYPE HTML>
<html>
	<head>
		<title>new Page</title>
		<meta charset="utf-8" />
		</head>
	<body>
	<h1>Main Page Test</h1>
	</body>
</html>
별 내용은 없다. html 기본양식에 타이틀과 body에 내용만 적은 것이다.
완료 되었다면 전송하자.
# 파일명을 적어도 되지만 .을 사용하면 모든 파일이 추가된다.
git add .
git commit -m "new page"
git push -u origin main

index.html이 전송되었다.
4. Github Page 설정하기
github의 레파지토리로 이동한다.
 
 

- Setting클릭
- 좌측 메뉴의 Pages클릭
- 본문의 내용 중 source와branch를 현재 사용중인 branch를 지정하고 경로를 지정
- save클릭
완료되었다면 상단에 이런 화면에 뜰 것이다.

View site를 클릭해서 이동하면

작성한 index.html 페이지의 내용이 출력된다.
5. github Page 주소 생성 규칙
기본적으로 gitbub의 페이지 2가지 방식으로 생성이 가능했다.
- 깃허브네임.github.io
- 깃허브네임.github.io/레파지토리명
저장소명에 따라 생성되는 페이지가 달라진다. 주의점이 있다.
- 경로의 중복 위험성이 있다.
 ex1) 깃허브네임.github.io 에 경로 test에 test.html이 있을경우- 깃허브네임.github.io/test/test.html ex2) test레파지토리에 test.html이 있을경우
- 깃허브네임.github.io/test/test.html
- 2개의 주소가 일치하면서 오작동 가능성이 발생한다.
 
- github는 static web이다.
    - DB를 가질수 없고 CSV, 구글시트, Sqlite등은 사용이 가능하지만 보안이 안된다.
   
- github에서 지원하는 jekyll과 static html 둘 모두 static web만 지원만 한다.
- 모든 코드는 노출되고 보안이 안된다. 중요한 개인정보나 패스워드는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.
 
- DB를 가질수 없고 CSV, 구글시트, Sqlite등은 사용이 가능하지만 보안이 안된다.
  
개인 공부 기록용 블로그입니다. 오류나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
댓글 또는 메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 
      
댓글 남기기